서울역에서 진주로 가는 ktx 새마을, 산천 차이점과 시간표 정보, 버스로 이동할 경우와의 차이점 등을 포함한 내용으로 진주에서 하차 후 진주성까지 가는 경로도 비교 및 참고할 수 있습니다.
서울 진주 ktx vs 버스 이동
서울에서 진주로 갈 때 어떻게 이용하시나요?
저는 고정관념인지는 모르겠지만 버스로 이동했던 기억 때문에 ktx가 다니는 걸 모르고 있었는데요.
사실 진주는 사천, 통영과 인접한 남해와 땅끝에서 가까운 도시로 서울에서는 버스로 이동하려면 남부터미널 및 강남고속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할 수 있습니다.
1. 남부터미널 출발→시외버스 터미널
2. 고속버스터미널 출발→고속버스터미널
3. 서울역 ktx 출발→진주역
버스로 가면 보통 3시간 50분 정도가 소요됩니다.
그에 반해 서울역에서 ktx를 이용하면 조금 줄어든 3시간 30분 정도가 소요되는데요.
시간상으로는 큰 차이가 아닌 거 같아도 장시간 버스를 타고 몸이 불편한 불들에게는 기차가 편할 수 있습니다.
또 하나의 차이점은 ktx를 이용해 진주역에 내리는 위치가 버스로 이동했을 경우와는 조금 다른데요.
진주성에서 가까운, 즉 도보로 이동가능한 시외버스터미널(도보 15분 거리)과는 다르게 ktx를 이용하면 가좌동에 있는 진주역에 도착하는데요.
진주성에 가실 분들은 조금 불편할 수 있습니다.
도보로는 1시간 30분이 넘는 거리이며 버스를 이용하면 35~40분, 택시를 이용하면 20분 정도가 소요됩니다.
그럼 고속버스터미널에서 내리면 진주성까지는 얼마나 걸릴까요?
도보로 이동시 35분, 버스로 17분, 택시로 8분 거리로 진주의 상징인 남강변을 따라 산책하며 걸어가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위 내용은 진주성을 기준으로 했지만 모든 분들이 진주성을 가는 것은 아니기에 고향에 가시는 분들 또한 본인에게 편리한 방법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ktx 요금 및 소요시간
일반적으로 서울역에서는 ktx-산천(57,600원) 차량이 많고 itx-새마을(45,900원) 차량도 간간히 있습니다.
그러나 이 둘의 차이점이 상당히 큰데요.
산천은 3시간 30분 정도가 소요되지만 새마을 차량은 5시간 20분이 걸리고 요금도 차이가 있죠.
다만 소요시간에 비하면 요금차이가 크지 않다는 점으로 인해 산천 차량을 이용하는 분들이 많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승차권 예매 시 확인해야 할 점은 경유하는 지역입니다.
진주까지 가는 동안 들리는 역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ktx 산천/광명→천안아산→대전→김천구미→동대구→경산→밀양→창원중앙→마산→진주
*ktx 새마을/영등포→수원→평택→천안→조치원→대전→옥천→영동→김천→구미→대구→동대구→경산→청도→밀양→진영→창원중앙→창원→마산→함원→진주
새마을호는 마치 광역전철 운행하는 것처럼 많은 역을 들리게 됩니다.
시간표
다음 시간표는 산천 및 새마을 차량이 혼합된 정보이며 보통 하루 2대 정도가 새마을 차량으로 배차됩니다.
회차 | 서울에서 진주 |
1 | 05:03 |
2 | 05:38 |
3 | 08:23 |
4 | 09:08 |
5 | 10:07 |
6 | 10:43 |
7 | 13:18 |
8 | 15:23 |
9 | 19:25 |
10 | 20:38 |
그럼 즐거운 여행되시길 바라며 참고가 되었기를 바랍니다.
'생활,편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주 GTX운정중앙역 좌석버스 202번 정류장 상세위치 및 시간표, 법원리 우체국에서 출발 (0) | 2025.02.08 |
---|---|
파주 적성에서 GTX운정중앙역 101번 버스 노선, 시간표 정보 (0) | 2025.02.07 |
서울역 청량리 출발 강릉 도착 ktx 시간표 및 예매 방법, 노선 차이 알아보기 (1) | 2025.02.02 |
GTX-C 노선도 및 개통 예상 시기, 어떤점에서 합리적일까? (1) | 2025.02.01 |
강릉역에서 버스 이용 안목 카페거리 가는 방법, 신설노선 212번 비교 (1) | 2025.02.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