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평택시도 수도권과의 대중교통 광역망이 더 견고 해지는 건가요? 5503번 버스는 서평택 지역에서 서울, 사당으로의 이동이 조금 더 수월해지는 방법으로 선택의 폭을 넓혀줄 거라 생각되며 시간표, 노선도 및 요금정보를 참고할 수 있습니다.
평택 안중에서 사당역까지 운행하는 5503번
평택에 거주하는 분들, 특히 평택역 인근에 거주하는 분들은 지하철을 이용해 안양, 사당, 강남 등으로 이동이 나름 편리했습니다.
사실상 1호선을 타고 금정역까지만 와도 4호선으로 환승하여 사당까지 쉽게 이동이 가능하고 사당역에서는 강남의 주요 지역으로 향하는 2호선 환승이 가능했는데요.
또한 그냥 타고 가기만 하면 서울역, 종로, 서울 북부지역, 의정부, 양주까지도 지하철로 이동이 가능한 나름의 대중교통수단으로 이동이 가능합니다.
단지 서울까지 오래 걸린다는...
그리고 평택은 사실 오산이나 수원에서 그리 먼 곳은 아닌데요.
그럼에도 평택이 갖는 이미지는 왠지 서울이나 안양, 수원이 갖는 수도권 이미지는 아니었고 실제 대중교통도 불편한 게 사실입니다.
특히나 평택역 인근을 제외하면 말이죠.
그리고 재미있는 건 안양시 인구가 55만 정도인데 평택시 인구는 59만으로 곧 60만을 돌파할 기세입니다.
하지만 대중교통이 완벽에 가까울 정도로 편리한 안양, 수원과는 다르게 평택에서 서울로 이동하는 수단은 불편한데요.
평택역을 기준으로 보면 서쪽으로 서평택, 동쪽으로는 안성시가 있습니다. 즉 평택시에서도 현덕면, 청북읍, 안중읍 등이 속한 서평택지역에서는 서울로 가기 위한 관문과도 같은 평택역으로 가기 위한 불편함이 있는데요.
서평택 지역에서 대표적인 장소인 안중시외버스터미널에서 평택역으로 가기 위해 자차로 30분, 버스로 40~50분을 달려야 도착하는 정도입니다.
좌석버스 8000번을 타면 요금이 2450원에 40분 정도가 걸렸고 그리고 다시 서울로 가기 위해 지하철을 타는 과정이 힘들 수밖에 없는데요.
노선도 및 요금
이런 불편함이 조금은 해소되는 광역버스가 등장했으니 바로 5503번 버스이며 요금은 사당역까지 2800원(조조/2400원)으로 입석이 없는 좌석제 버스입니다.
5503번은 안중터미널을 시작으로 8 정류장을 지나 사당역에 도착합니다. 즉 평택역으로 갈 필요는 없다는 건데 해당 지역에서 서울의 교통 요지인 사당역을 통해 서울의 각 지역으로 이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시간도, 돈도 아낄 수 있는 방법이죠.
그럼 노선도를 살펴볼까요?
노선도/안중터미널→주공 2단지(안중)→동환 아파트→안중 출장소→부영 1차 후문(청북)→한전 서평택지사(청북)→청북 고등학교→청북 읍사무소→의왕 통게이트(경유)→사당역(종점)
노선도를 보면 알겠지만 청북읍 지역을 많이 경유하기에 5503번 버스의 수요는 은근히 넓은 지역에 있습니다.
4월 1일부터 운행하는 5503번은 6대이며 하루 18번 운행하는데요.
시간표는 이렇습니다
첫차시간부터 출근시간대 나름 배차가 좀 더 많습니다. 그 후에는 한 시간 단위로 배차되어 외우기도 편하죠?
안중터미널 시간표 | ||
05:30 | 11:30 | 17:00 |
06:10 | 12:20 | 18:00 |
06:40 | 13:10 | 19:00 |
07:10 | 14:00 | 20:00 |
08:00 | 15:00 | 21:00 |
09:00 | 16:00 | 22:00 |
향후 어느 정도 변경될 부분도 있겠지만 먼저 이용객들이 충분해야 운행 횟수도 늘어날 여지가 있을 걸로 보이고요.
기존 노선과의 비교
그럼 기존에 안중터미널에서 사당역으로 버스를 이용하는 방법은 어땠을까요?
안중터미널에서 직행버스 8471번을 타면 봉담읍 행정복지센터 정류장에서 8155, 8156번으로 환승이 필요했고요. 1시간 50분 정도 소요되고 요금은 3500원이 필요합니다.
사실 요금보다 버스 환승이 필요한 것이 더 힘들게 하는 요인인데요. 평택역으로 가서 지하철을 이용하는 방법을 이용해도 결국 사당역까지는 1시간 50여분, 그리고 3550원의 요금이 들어갑니다.
그리고 5503번을 이용하면 사당역까지 90~120분 정도의 소요시간을 예상하는데요. 맥시멈인 120분이 걸린다 해도 기존 방법보다는 더 경제적이죠.
그래서 5503번 광역버스가 이런 불편함을 조금은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고요. 특히 서울로 출퇴근이 필요한 분들에겐 단비 같은 소식이지 않을까요.
결국 지역이 활성화되기 위한 조건으로 대중교통은 필수이며 그것을 기반으로 관광, 교육, 비즈니스가 모두 살아나는 요인이 아닌가 싶습니다.
'생활,편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인 기흥구 서천마을에서 서울역 환승센터 4104번 버스 노선도 및 운행량 (0) | 2025.03.31 |
---|---|
청주국제공항 국제선 운항 노선 및 주차장 이용, 일본으로 가는 경우 합리적인 선택일까? (1) | 2025.03.29 |
청량리역 동해역 KTX 시간표 및 가볼만한 곳, 감추사 가는 방법 (0) | 2025.03.19 |
대구공항 국제선 국내선 운항 정보 및 출발 시간, 항공권 예매 알아보기 (0) | 2025.03.18 |
서울에서 경주역 환승없이 한번에! 청량리역 시간표 및 노선도 알아보기 (0) | 2025.03.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