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편의

용인 기흥구 서천마을에서 서울역 환승센터 4104번 버스 노선도 및 운행량

by milkywayman 2025. 3. 31.

직행좌석버스로 운행하는 4104번은 용인 기흥구 서농동 지구를 돌아 서울시청, 서울역을 순환하는 노선입니다. 특히 서농동 지역에서 서울 중구권역으로 이동시 환승 없이 이동이 가능해 편리합니다.

 

용인 4104번 버스 노선도

사실 기흥구 서농동은 비교적 교통이 다양한 수지구와는 조금 다르다고 할 수 있는데요.

 

4104번이 기존 대중교통으로 이동하 하는 것과 비교하여 어떤 장점이 있을지 살펴보며 먼저 노선도를 보시고 본인이 거주하는 지역에서 버스를 탈 수 있는지 확인해 보시죠.

 

노선도만 봐도 본인에게 합리적인지, 아니면 기존 대중교통 방법과 다를 것이 없는지 알 수 있죠.

 

4104번 버스는 용인지역에서 14개 정류장, 서울에서는 6개 정류장을 경유합니다.

 

*노선도/서천지구 센트럴파크원·힐스테이트→서천마을 2단지 쌍용예가→고매사거리·농협→세원아파트→기흥 초등학교→공세 복합단지·삼성 SDI→호수 청구 아파트→한일 마을→한일 초교→보라 중학교→삼성 아파트·현대모닝사이드 아파트→상갈역→루터 대학교·상갈 중학교→상미 마을·신갈 오거리·롯데캐슬 레이시티→국군재정 관리단→남산 3호 터널·서울 애니메이션센터→롯데 영프라자→서울시청→신한은행 본점→서울역 환승센터 5번 승강장.

 

 

결과적으로 보면 기흥구 서농동 주민이 서울역으로 갈 때 편리한 노선이 맞습니다.

 

기점-정류장-위치
기점 정류장 위치

 

특히, 눈에 띄는 점이 센트럴파크원 아파트에서 시작해 서천지구를 두루두루 경유하는 점인데요.

 

환승도 필요 없이 한 번에 서울역으로 향하는 점이 매력적으로 특히 출·퇴근으로 이용하는 분들이라면 굳이 이걸 놔두고 지하철로 갈 필요는 없겠죠.

 

기존 노선 이용 방법과 차이점

수지구의 경우 광교, 상현, 성복, 수지구청, 동천역 등의 신분당선의 이용과 일부 인접한 수인분당선 역들이 있어 나름 서울로 이동이 불편하지는 않습니다.

 

상현동을 예로 들면 상현역에서 신분당선을 이용해 서울역까지 1시간이면 가는 정도이고 상현역에서 M4101번을 타면 종로 2가, 남대문시장이나 을지로입구에서 쉽게 환승해 갈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1시간 10분 정도가 소요되는데요.

 

특히 광교에서 출발해 상현 고등학교·중학교, 성복역 등 상현동을 여기저기 거쳐서 서울역 환승센터까지 한 번에 갈 수 있는 5500-2번 버스는 합리적인 노선이죠.

 

기흥구에서도 수인분당선인 영통, 망포역이 인접한 편이며, 1호선 병점역, 세류역을 이용할 수 있지만 환승이 필요한 지역입니다.

 

경희대학교가 있는 기흥구 서천지구, 즉 서농동에서 서울역과 시청이 있는 서울 중구 지역으로 가기 위한 방법으로는 지하철 1호선 병점역에서 승차하여 서울역까지 한 번에 갈 수 있는데요.

 

사실 이 방법이 합리적이긴 합니다. 지하철을 이용하는 것만큼 출퇴근에 확실한 것도 없으니까요.

 

서천지구 센트럴파크원 아파트를 기준으로 서울역까지 1시간 35분이 걸립니다.

 

*센트럴파크원 아파트에서 버스 탑승→병점역 환승→서울역

 

다만, 지하철을 이용하지 않고 버스로 서울역까지 가기 위해 이런 방법도 있죠.

 

*서천마을 2단지, 쌍용예가 정류장에서 8번 버스 탑승→살구골, 서광아파트 정류장에서 M5107번 광역버스로 환승→1시간 5분 동안 9개 정류장 이동→서울역 환승센터 6번 승강장 도착.

 

위 코스는 1시간 30여분 코스지만 서천마을 2단지가 아닌 애초에 살구골에서 탑승하면 시간은 조금 줄일 수 있겠죠. 그리고 이런 단점을 장점으로 승화시킨 노선이 4104번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위 노선들처럼 환승을 안 해도 되는 부분이 장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M5107/경희대→살구골→영통역→청명역→서울시청→서울역

 

다만 경희대학교 학생 및 교직원일 경우 경희대학교 정류장에서 M5107번을 탑승하여 한번에 갈 수도 있어 4104번은 하나의 선택지가 늘어간 경우가 되겠습니다.

 

4104번 운행량

10대의 버스로 하루 40회 운행을 하게 되는데요. 중요한 것은 출근 시간대겠죠.

 

운행 시간표
첫차 05:00
막차 22:30

 

 

출·퇴근 시간대에는 20분 간격으로 운행하니 어느 정도 유동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댓글